파워 서플라이는 앞의 SSD, RAM, 그래픽 카드에 비해 매우 간단합니다. 크기나 호환성이 대부분 통일되어 있기 때문이죠. 다만, 파워 용량 (W)은 직접 확인하고 제조사도 비교해봐야 합니다.
# 1. 파워 서플라이 제원 확인 & 구매 요령
파워 서플라이는 전원 케이블에 연결할 수 있게 데스크톱 내부 뒷면에 장착되어 있고
제원 스티커를 통해 용량과 모델명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파워 서플라이는 아직 소프트웨어로 확인할 수가 없어 PC를 직접 개봉하여 확인해야 합니다.
# 2. 파워 서플라이 구매 요령
사람도 힘에 비해 너무 무거운 걸 들지 못하듯,
그래픽카드도 성능에 비해 파워 서플라이 용량이 적다면 PC 부팅 또는 프로그램 실행이 안 되거나,
프로그램이 꺼지거나,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.
그래서 더 좋은 그래픽 카드로 업그레이드 한다면, 반드시 파워 서플라이도 용량에 맞게 교체해야 합니다.
이때 그래픽 카드마다 권장 서플라이 용량이 있는데,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보세요.
▶ 그래픽카드별, 파워 서플라이 용량 보기
Tip 파워 서플라이도 제조사가 다양한데 개인적인 추천은 어렵고,
인터넷에서 각 장단점이나 특징을 찾아보면 좋습니다.(시소닉, FSP, 델타, 마이크로닉스 등)
# 3. 파워 서플라이 용량별 추천
자신에게 맞는 용량을 확인했다면, 아래 제품중에서 가격과 브랜드를 비교해보세요!
'PC 꿀팁 > PC 기초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외장 그래픽 카드 GPU ↔ CPU 병목현상 성능감소 확인방법 (0) | 2022.08.01 |
---|---|
윈도우10, 11 라이선스 종류 및 차이점, 완벽정리! (FPP, DSP, OEM, ESD, COEM등) (0) | 2022.05.16 |
외장 그래픽 카드 모델명 브랜드 보는법 (용어, 의미, 구매 요령) NVDIA Geforce GTX 1060 등. (0) | 2022.05.14 |
내장 그래픽, 외장 그래픽 카드 구분 방법 (종류 및 차이점) (0) | 2022.05.14 |
윈도우10, 11 홈 프로 차이 (Win10 Pro, Home, Education, Enterprise 종류 버전별 기능, 성능 차이) (0) | 2022.05.1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