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. 노트북으로 랜선 인터넷이나 와이파이를 사용할 때 가끔씩 느릴때가 있습니다. 아예 안되면 수리점에 문의할 수 있겠지만, 이상하게 느린 부분은 센터에서 점검하기도 애매할 것입니다. 이럴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사항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하지만 인터넷이 느리거나 가끔씩 끊어지는 이유는 너무나 다양하고 변수가 많기 때문에
본 포스팅 하나로 해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그렇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서 하나씩 해결해보시기 바랍니다.
노트북 Wi-Fi 주파수 확인하기
요즘 Wi-Fi 공유기는 2개의 주파수 (5GHz, 2.4GHz)를 지원하는데,
PC나 스마트폰에서는 Wi-Fi 아이디 (=SSID) 뒤에 5G가 붙어서 표시됩니다.
5GHz와 2.4GHz의 차이를 간단히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
* 5GHz : 2.4GHz보다 빠르다 (단, 중간에 장애물이나 벽, 굴곡이 많으면 2.4GHz보다 느려진다).
* 2.4GHz : 5GHz보다 느리다 (단, 장애물, 벽, 굴곡 영향이 적어, 안정적이고 수신거리가 더 좋다).
자 그럼, 거실에 Wi-Fi 공유기가 있고 방에서 문을 닫았을 때, 어떤 주파수가 더 빠를까요?
환경 차이가 있겠지만, 보통 5GHz보다 2.4GHz가 더 빠르고 안정적입니다. 물론, 거실에서는 5Hz가 훨씬 빠르고, 방이 거실과 가깝고 문도 활짝 열었다면, 이 역시 5GHz가 더 빠를 수 있습니다.
따라서, 인터넷과 PC는 정상인데 주파수 선택 때문에 느릴 수 있으니, 가장 먼저 체크해봐야 합니다.
노트북 랜선 + Wi-Fi 동시 사용 끄기
간혹, 노트북에 랜선을 꽂아놓고 Wi-Fi까지 연결하는 경우가 있는데,
실제로는 한쪽만 연결되기 때문에 인터넷 속도가 빨라지지 않으며, 오히려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.
노트북 입장에서는 더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에 연결하느라,
랜선과 Wi-Fi를 왔다갔다 하면서 잠깐씩 연결이 끊어질 수 있기 때문이죠.
따라서, 둘 중 하나는 OFF 시키는 것이 좋습니다.
(랜선을 뽑으시거나 Wi-Fi 연결을 끊어주세요)
Q. 랜선, Wi-Fi 둘 중 어떤걸 쓰는게 좋을까요?
A. 인프라 환경상 예외는 있지만, 보통 랜선이 Wi-Fi 보다 조금 더 빠르고 안정적이고,
이동이 많거나 깔끔한게 좋다면 Wi-Fi가 좋겠습니다.
▣ 참고로 제가 10년간 엔지니어로 근무하면서 PC 수리 스킬과 Windows 꿀팁을 담아낸 책도 있으니 참고해보세요.
▶ 도서 살펴보기 【컴퓨터 고장! 집에서 혼자 고치는 스킬 & Windows 꿀팁 정복하기】
▣ 추가 TIP !!
유튜브 구독 후, 카페에 문의주시면 각종 PC 문의를 100% 무료로 도와드립니다.
아울러, 현재 블로그를 즐겨찾기 (CTRL+D) 하시면 PC 문제를 더욱 빠르게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^^
▶ 단체 카톡방 입장하기 (무료 + 익명) - 게시일 기준 200명
▶ 유튜브 <맨날 수리야> - PC 스마트폰 꿀팁 모음
* 혹시 더 필요한 정보가 있다면, 좌측 상단의 "블로그 내 검색" 또는 아래에 검색어를 입력해보세요!
댓글